1️⃣ 다니엘 1장 – 바벨론에서의 시험과 승진
1 느부갓네살이 예루살렘을 점령하고 다니엘과 세 친구(하나냐, 미사엘, 아사랴)를 포로로 데려감.
5 왕이 그들에게 바벨론 음식과 포도주를 제공하지만, 다니엘은 율법을 지키기 위해 채식과 물만 먹기로 결심함.
15 10일 후, 다니엘과 친구들이 더 건강해 보였으며 하나님께서 그들에게 지혜를 주심.
20 왕이 그들을 시험해 보니, 바벨론의 박사들보다 10배나 뛰어남.
2️⃣ 다니엘 2장 – 느부갓네살의 꿈과 신상 환상
1 왕이 신상에 대한 꿈을 꾸지만, 그 의미를 알지 못해 점술가들에게 요구함.
12 점술가들이 해석하지 못하자 왕이 모두 죽이라고 명령함.
19 다니엘이 기도 후 꿈을 계시받고 왕 앞에서 해석함.
31 신상의 머리는 금(바벨론), 가슴과 팔은 은(메디아-페르시아), 배와 넓적다리는 놋(헬라), 종아리는 철(로마), 발은 철과 진흙(분열된 나라들).
34 사람이 손대지 않은 돌이 신상을 부수고, 그 돌이 온 세상을 채움(하나님의 영원한 나라).
48 왕이 다니엘을 바벨론 총리로 세우고, 친구들도 고위직에 임명함.
3️⃣ 다니엘 3장 – 풀무불 속의 세 친구
1 느부갓네살 왕이 금 신상(높이 27m, 너비 2.7m) 을 세우고 경배를 강요함.
12 세 친구가 이를 거부하자 왕이 격노하여 그들을 일곱 배나 뜨거운 풀무불에 던짐.
24 왕이 보니 불 속에서 네 명이 걸어 다니는데, 네 번째는 신과 같은 모습이었음.
27 그들이 불에 타지 않고 머리카락 하나도 그을리지 않자, 왕이 하나님을 찬양하고 그들을 높임.
4️⃣ 다니엘 4장 – 느부갓네살의 꿈과 짐승 같은 심판
4 왕이 두 번째 꿈을 꾸고 다니엘에게 해석을 요청함.
10 꿈 속의 큰 나무는 왕 자신이며, 나무가 베어지는 것은 그가 폐위될 것을 의미함.
25 "왕이 7년 동안 짐승처럼 들에서 살며, 하나님이 참된 왕이심을 알 때까지 그렇게 될 것입니다."
33 즉시 왕이 미쳐서 들짐승처럼 생활함.
34 7년 후 왕이 하나님을 찬양하자, 그의 왕권이 회복됨.
5️⃣ 다니엘 5장 – 벨사살의 연회와 벽에 쓰인 글
1 벨사살 왕이 성전의 그릇으로 술을 마시며 우상을 찬양함.
5 갑자기 손이 나타나 벽에 글씨를 씀: "메네 메네 데겔 우바르신"
25 다니엘이 해석함:
메네: 하나님이 왕국의 날수를 세어 끝내심.
데겔: 왕이 저울에 달려 부족함이 드러남.
우바르신(베레스): 나라가 메디아와 페르시아에 나뉘어짐.
30 그날 밤, 바벨론이 페르시아에 의해 함락되고 벨사살이 죽음.
6️⃣ 다니엘 6장 – 사자굴 속의 다니엘
3 다니엘이 다리오 왕 아래서 총리 중 으뜸이 됨.
5 대신들이 그를 모함하려 하나, 오직 그의 신앙에서 흠을 찾을 수밖에 없었음.
7 왕에게 30일 동안 왕 외의 다른 신에게 기도하면 사자굴에 던진다는 법을 만들게 함.
10 다니엘이 창문을 열고 하나님께 하루 세 번 기도함.
16 왕이 어쩔 수 없이 다니엘을 사자굴에 던짐.
22 하나님께서 사자의 입을 막아 다니엘을 보호하심.
24 대신들과 그 가족들이 사자굴에 던져지자, 사자들이 그들을 즉시 잡아먹음.
26 다리오 왕이 온 나라에 다니엘의 하나님을 경배하라는 칙령을 내림.
📌 "페레그 잇단(פְּלַג עִדָּן)"의 의미 정리
✅ "페레그(פְּלַג)"의 기본 의미
아람어 "페레그(פְּלַג)" = "절반" 또는 "분리됨"
그러나 문맥에 따라 **"완전히 끝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할 가능성이 있음.
✅ 히브리어 및 아람어 사용 사례
창세기 10:25 "펠렉(פֶּלֶג)" → "땅이 나뉘었으나 완전히 분리되지 않은 상태"
바빌로니아 탈무드 "페레그 하요므(פלג היום)" → "하루의 절반"이지만, 아직 진행 중인 상태를 의미
✅ 다니엘 7:25에서 "페레그 잇단"의 해석
"한 모에드(잇단) → 복수의 모에딤(잇다닌) → 페레그 잇단"
일반적으로 **"절반의 모에드"**로 해석되지만,
**"완전히 끝나지 않은 상태의 모에드"**를 의미할 가능성이 높음.
✅ 결론
"페레그 잇단"은 단순한 **"절반의 모에드"**가 아니라,
**"완전히 마치지 못한 상태의 모에드"**를 의미할 가능성이 크다.
7️⃣ 다니엘 7장 – 네 짐승과 인자의 나라
1 벨사살 왕 때 다니엘이 환상을 봄.
3 네 짐승이 바다에서 올라옴:
첫째: 사자 같은 짐승(바벨론).
둘째: 곰 같은 짐승(메디아-페르시아).
셋째: 표범 같은 짐승(헬라).
넷째: 무섭고 강한 짐승(로마), 10뿔이 있고 작은 뿔이 나와 셋을 뽑음.
8 작은 뿔(적그리스도)이 성도를 박해함.
📖 다니엘 7:25 – "잇단(모에드) 잇다닌(모에딤) 페레그 잇단"
25 "그가 지극히 높으신 이를 대적하며 성도를 괴롭히고,
그가 모에드(잇단)와 법을 변개코자 할 것이며,
성도들은 그의 손에 붙여져 **한 모에드(잇단), 복수의 모에딤(잇다닌), 그리고 페레그 잇단(미완성된 모에드)**까지 넘겨질 것이다."
✅ "한 모에드(잇단) → 복수의 모에딤(잇다닌) → 페레그 잇단(완전히 끝나지 않은 모에드)" 구조
27 마지막에는 성도가 영원한 나라를 받음.
8️⃣ 다니엘 8장 – 숫양과 숫염소 (헬라의 정복과 작은 뿔의 출현)
3 두 뿔 있는 숫양(메디아-페르시아) 가 서쪽을 정복함.
5 숫염소(헬라, 알렉산더 대왕) 가 숫양을 쳐서 멸망시킴.
8 숫염소의 큰 뿔(알렉산더) 이 꺾이고, 네 개의 뿔(헬라의 네 왕국) 로 나뉨.
9 작은 뿔(안티오쿠스 4세 에피파네스, 적그리스도의 예표) 이 성소를 더럽힘.
14 "2300주야 후에 성소가 정결하게 될 것이라."
9️⃣ 다니엘 9장 – 70이레 예언과 마지막 언약의 때
2 다니엘이 예레미야의 70년 예언을 깨닫고 기도함.
21 가브리엘이 나타나 70이레(490년) 예언을 전달함.
📖 다니엘 9:24-27 – 샤부아(칠칠절) 개념이 등장하는 구절
24 "네 백성과 네 거룩한 성을 위하여 **칠십 이레(שִׁבְעִים שָׁבוּעִים, 샤부임 샤부아임)**가 정해졌나니..."
25 "예루살렘을 중건하라는 영이 날 때부터 기름 부음 받은 자(메시아)까지 **일곱 이레(שִׁבְעָה שָׁבוּעִים, 샤부아 샤부아임)**와 육십이 이레가 지날 것이요..."
27 "그가 한 이레(אֶחָד שָׁבוּעַ, 에하드 샤부아) 동안 많은 사람과 언약을 맺을 것이나, 그 이레의 **절반(חֲצִי, 헤치)**에 제사를 폐할 것이며..."
✅ 샤부아(שָׁבוּעַ) = "칠칠(7x7), 오순절(칠칠절)과 관련된 숫자 개념"
✅ **"한 이레(에하드 샤부아)"**가 단순한 "7년"이 아니라 샤부옷(칠칠절) 주기와 관련될 가능성이 높음
✅ "절반(헤치)"에서 제사가 폐해진다는 점이 "오멜 계수의 중간 지점"과 연결될 가능성이 있음
🔟 다니엘 10장 – 천사 미가엘과 영적 전쟁
1 바사 왕 고레스 3년, 다니엘이 3주 동안 금식함.
5 힛데겔 강가에서 하늘의 사자(영광스러운 존재) 가 나타남.
12 사자가 "첫날부터 네 기도를 들었으나 바사 왕국의 군주(영적 세력) 가 21일 동안 나를 막았다."
13 "그러므로 미가엘이 와서 나를 도왔다."
19 "두려워하지 말라! 네 하나님께서 너를 사랑하시느니라!"
1️⃣1️⃣ 다니엘 11장 – 마지막 때의 적그리스도 예언
2 페르시아(바사)에서 네 왕이 등장할 것이며,
3 강한 왕(헬라, 알렉산더 대왕) 이 일어나나, 그의 왕국이 넷으로 나뉠 것.
21 작은 뿔(적그리스도)이 간계를 통해 권력을 잡음.
31 "그가 군대를 일으켜 성소를 더럽히며 매일 드리는 제사를 폐하고, 멸망하게 할 미운 물건을 세울 것이라."
1️⃣2️⃣ 다니엘 12장 – 마지막 때와 모에드(절기) 개념 등장
1 "그때에 네 백성을 위해 큰 군주 미가엘이 일어날 것이라!"
📖 다니엘 12:7 – "모에드(잇단) 모에딤(잇다닌) 절반"
7 "한 때(모에드, מוֹעֵד), 두 때(모에딤, מוֹעֲדִים), 절반(חֵצִי, 헤치)까지 성도가 핍박을 받을 것이라."
✅ "모에드(잇단) → 모에딤(복수의 절기) → 절반(헤치)"의 절기 흐름이 있음
📖 다니엘 12:11-12 – 1290일과 1335일
11 "매일 드리는 제사를 폐하며 멸망하게 할 미운 물건을 세울 때부터 1290일을 지낼 것이요."
12 "기다려서 1335일까지 이르는 그 사람은 복이 있으리라."
✅ 1290일 = 모에드(절기) → 모에딤(복수의 절기) → 페레그 잇단(미완성된 모에드)
✅ 페레그 잇단이 오멜 계수 45일째일 가능성이 높음
✅ 1290일 + 45일(오멜 계수 45일째) = 1335일 → 오순절과 일치할 가능성이 높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