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 가지 질문;
하나님의 나라의 복음을 올바르게 받아들이는 첫 번째 단계는 깨어남입니다.
“회개하라, 천국이 가까이 왔느니라.” - 예수님
현대 시대에 우리는 영어를 히브리어 성경을 정확하게 이해하는 도구로 사용하고 있는가? 아니면 히브리어 성경을 영어라는 틀에 맞추려고 하는가?
영어 사용자들은 사랑하는 반려동물을 성별에 따라 ‘he’ 또는 ‘she’로 부릅니다. 이는 히브리어 성경의 단어에서 성별 구별이 중요한 것과 일맥상통합니다. 살아 있는 존재에 대한 애정과 존중을 반영하는 방식입니다. 그렇다면, 소중한 한 살 된 흠 없는 수양(living being)을 번역할 때, 그것을 무생물처럼 **‘it’**이라고 지칭하는 것이 올바르고 정확한 것인가?
출애굽기 12:6의 ‘וְהָיָה’(그리고 그는 되어)와 창세기 1:2의 ‘הָיְתָה’(그녀는 되었다)에서 보이는 히브리어 성경의 성별적 의미를 우리는 정확하게 이해하고 올바르게 해석하고 있는가?
히브리어:
וְהָיָה לָכֶם לְמִשְׁמֶרֶת עַד אַרְבָּעָה עָשָׂר יוֹם לַחֹדֶשׁ הַזֶּה וְשָׁחֲטוּ אֹתוֹ כֹּל קְהַל עֲדַת־יִשְׂרָאֵל בֵּין הָעַרְבָּיִם׃
음역:
V'hayah lachem l'mishmeret ad arba'ah asar yom la'chodesh hazeh v'shachatuh oto kol k'hal adat-Yisrael bein ha'arbayim.
"그리고 그는 너희에게 보살핌이 되며, 이달의 열나흘째 날까지 두고, 이스라엘 회중의 모든 무리가 그를 저녁들 사이에서 드릴 것이다."
וְהָיָה (v'hayah)
품사: 접속사 + 동사, 칼 완료형 (3인칭 남성 단수)
의미: "그리고 그는 되며" 또는 "그리고 그는 된다"
לָכֶם (lachem)
품사: 전치사 + 대명사 (2인칭 남성 복수)
의미: "너희에게"
לְמִשְׁמֶרֶת (l'mishmeret)
품사: 전치사 + 명사 (여성 단수)
의미: "보존함을 위해" 또는 "보호를 위해"
עַד (ad)
품사: 전치사
의미: "까지"
אַרְבָּעָה עָשָׂר (arba'ah asar)
품사: 수사 (남성)
의미: "열넷"
יוֹם (yom)
품사: 명사 (남성 단수)
의미: "날"
לַחֹדֶשׁ (la'chodesh)
품사: 전치사 + 명사 (남성 단수)
의미: "그 달의"
הַזֶּה (hazeh)
품사: 지시 대명사 (남성 단수)
의미: "이"
וְשָׁחֲטוּ (v'shachatuh)
품사: 접속사 + 동사, 칼 완료형 (3인칭 남성 복수)
의미: "그리고 그들은 드릴 것이다" (희생 제사의 의미, 단순히 도살하는 것이 아님)
אֹתוֹ (oto)
품사: 대명사 (3인칭 남성 단수)
의미: "그를"
כֹּל (kol)
품사: 명사 (남성 단수 연계형)
의미: "모든"
קְהַל (k'hal)
품사: 명사 (남성 단수 연계형)
의미: "회중"
עֲדַת־יִשְׂרָאֵל (adat-Yisrael)
품사: 명사 (여성 단수 연계형) + 고유명사
의미: "이스라엘의 회중"
בֵּין (bein)
품사: 전치사
의미: "사이에서"
הָעַרְבָּיִם (ha'arbayim)
품사: 명사 (쌍수형)
의미: "저녁들" ("해질녘과 완전한 밤 사이"를 의미)
"그리고 그는 너희에게 보호하고 살핖이 되며" → 히브리어 **"וְהָיָה לָכֶם לְמִשְׁמֶרֶת"**는 3인칭 남성 단수(hayah)가 사용되었기 때문에 어린 양(lamb)이 남성적 존재로 표현됨.
"그를 드릴 것이다" → **"וְשָׁחֲטוּ אֹתוֹ"**에서 **"אֹתוֹ (oto)"**는 남성 단수 목적격 대명사로, 어린 양이 "it"이 아니라 "he"로 번역되는 것이 올바름.
"저녁들 사이에서" → **"בֵּין הָעַרְבָּיִם"**는 유대 전통에 따라 **"오후와 해질녘 사이의 시간"**을 의미.
이 번역과 문법 분석을 통해, 히브리어 성경이 가진 본래 의미를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유월절 희생에는 두 가지 뚜렷한 단계가 존재합니다.
첫 번째 단계는 준비일에 어린 양을 잡고 준비하는 것이며,
두 번째 단계는 유월절 본식으로, 아빕(니산) 14일 저녁 사이에 이루어집니다.
어린 양은 아빕 14일 전까지 보관되어야 합니다.
그 후, **희생(제물로 바쳐짐)**되며, 즉 13일 오후에 도살하고 준비하는 과정이 포함됩니다.
유월절 본 행사는 아빕 14일 저녁 사이(בֵּין הָעַרְבָּיִם, ‘베인 하아르바임’)에 이루어집니다.
이때, 이미 준비된 어린 양이 여호와께 드려집니다.
이 제사 후에야 이스라엘 백성이 어린 양을 먹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철저한 시간과 절차는 유월절 예식의 중요성을 강조할 뿐만 아니라,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처형이 유월절 준비일(아빕 13일)에 이루어진다는 예표로서
성경적 서사를 정확하게 반영합니다.
🔹 출애굽기 12:6
어린 양을 아빕 14일 전까지 보관하고,
"저녁들 사이"(בֵּין הָעַרְבָּיִם)에서 희생하도록 명령하심.
이는 13일 오후에 준비하여 유월절을 맞이함을 의미.
🔹 역대하 35:1
유월절 희생 제사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14일 저녁 본식을 위해 13일에 미리 어린 양을 도살하고 준비해야 함을 확인.
이는 성경적 절차 및 시간표와 완전히 일치함.
이러한 유월절 희생의 두 단계는 예수님의 십자가 희생이 유월절 준비일(아빕 13일)에 이루어졌음을 명확히 보여주며,
성경적 진리를 보다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합니다.
히브리어 성경에서 **‘AD’(עַד)**는 ‘~까지’(until)로 해석될 수 있지만, 보다 정확하게는 ‘~하기 전에’(before)라는 의미로 자주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창세기 3:19에서 ‘AD’는 사람이 죽기 전까지 먹고 땀을 흘린다는 의미를 가집니다. 즉, 죽음 이후에는 더 이상 먹거나 땀을 흘리지 않습니다.
또한, 창세기 43:25에서 ‘야곱이 이집트에 도착하기 전에’라는 표현에서도 ‘AD’가 사용되었으며, 이는 모든 번역본에서 일관되게 ‘~하기 전에’(before)로 해석됩니다.
마찬가지로, 출애굽기 12:6에서도 ‘AD’는 동일한 방식으로 사용되므로, **‘~하기 전에’(before)**로 해석하는 것이 정확한 의미를 전달하는 것입니다.
‘בין הערבים’(Bein Ha'arbayim)는 직역하면 ‘저녁들 사이’(between the evenings)라는 의미입니다.
그러나 라시(Rashi)는 출애굽기 12:6에서 이를 ‘오후’(in the afternoon)로 해석했습니다.
하지만 그는 여호수아 5:10에서 유월절이 ‘저녁’(ערב, erev)으로 기록된 이유에 대해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출애굽기 16:8과 16:13에서도 **‘ערב’(erev)**는 단수형으로 기록되어 있으며, 이는 **‘저녁’**을 의미합니다.
출애굽기 16:12에서 **‘בין הערבים’(bein ha'arbayim)**과 동일한 시간대를 가리키고 있습니다.
‘בין הערבים’(between the evenings)는 해가 지는 순간을 가리키는 매우 짧은 시간으로, 정확히 하루가 끝나고 새로운 하루가 시작되는 순간을 의미합니다.
이 표현은 히브리어 성경에서 시간을 초 단위까지 명확히 구분하는 완벽한 표현입니다.
창조주께서 주신 이 명확하고도 날카로운 말씀은 코이네 그리스어 신약에서 **‘성령의 검’**이라는 표현으로 가장 정확하게 전달됩니다(에베소서 6:17).
따라서 우리는 인간의 해석이나 다른 문헌에 의존하지 않고, 히브리어 성경과 코이네 그리스어 신약만을 신뢰해야 합니다.
이 놀라운 사실을 알게 되면, 히브리어 성경과 코이네 그리스어 신약이 이루는 완벽한 조화에 감탄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경이로움에 찬탄할 수밖에 없습니다.
할렐루야! 주님, 주님은 얼마나 놀라우신 분이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