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브리어로 'Yeshuah, H3444' 예슈아는 구원을 의미합니다. 구약성경에서 바로 이 Yeshuah, H3444 구원이 신약성경에서 사내아이로 태어나신, 예슈아(한국어로는 예수)를 예표하며 증거하고 있습니다. 이 예슈아를 한국어로 번역하여 한국어 성경 번역에 기록한 단어가 바로 "구원" 입니다.
ישועה
히브리어 성경에 77번 언급된 다섯 글자로 된 히브리어 명사입니다. 예수라는 한국어는 헬라어 신약성경이 "이예수스" 라고 음역한 이 주님의 성호를 다시 한국어로 음역한것 입니다. 반면, 히브리어 예슈아를 헬라어 신약에서 "이예수스"라고 음역한 것은 어미에 남성형 시그마가 추가된 것입니다. 헬라어 신약성경은 예슈아의 성호를 헬라어로 번역하지 않았습니다.
메시아 예슈아(예수 그리스도)를 믿어야 'YESHUAH'(구원)를 받게 됩니다. 신약성경의 예슈아는 구원의 제공자일 뿐만 아니라, 유일하신 하나님이 성육신하신 독생자아들 이십니다. 메시아 예슈아를 믿는 것이 바로 YESHUAH 받는, 즉, 구원을 받는 유일한 길입니다.
삼상2:1 한나가 기도하여 가로되 내 마음이 여호와를 인하여 즐거워하며 내 뿔이 여호와를 인하여 높아졌으며 내 입이 내 원수들을 향하여 크게 열렸으니 이는 내가 (진짜성경) 당신의 예슈아 안에서 ( H3444: 한국어 번역, 구원) 기뻐함이니이다
삼상2:2 여호와와 같이 거룩하신 이가 없으시니 이는 주 밖에 다른 이가 없고 우리 하나님 같은 반석도 없으심이니이다
삼상2:3 심히 교만한 말을 다시 하지 말 것이며 오만한 말을 너희 입에서 내지 말지어다 여호와는 지식의 하나님이시라 행동을 달아보시느니라
삼상2:4 용사의 활은 꺾이고 넘어진 자는 힘으로 띠를 띠도다
삼상2:5 유족하던 자들은 양식을 위하여 품을 팔고 주리던 자들은 다시 주리지 않도다 전에 잉태치 못하던 자는 일곱을 낳았고 많은 자녀를 둔 자는 쇠약하도다
삼상2:6 여호와는 죽이기도 하시고 살리기도 하시며 음부에 내리게도 하시고 올리기도 하시는도다
삼상2:7 여호와는 가난하게도 하시고 부하게도 하시며 낮추기도 하시고 높이기도 하시는도다
삼상2:8 가난한 자를 진토에서 일으키시며 빈핍한 자를 거름더미에서 드사 귀족들과 함께 앉게 하시며 영광의 위를 차지하게 하시는도다 땅의 기둥들은 여호와의 것이라 여호와께서 세계를 그 위에 세우셨도다
삼상2:9 그가 그 거룩한 자들의 발을 지키실 것이요 악인으로 흑암 중에서 잠잠케 하시리니 힘으로는 이길 사람이 없음이로다
삼상2:10 여호와를 대적하는 자는 산산이 깨어질 것이라 하늘 우뢰로 그들을 치시리로다 여호와께서 땅 끝까지 심판을 베푸시고 당신의 왕에게 힘을 주시며 (진짜성경) 당신의 메시아의 (H4899: 한국어 번역, 기름 부음을 받은 자) 뿔을 높이시리로다 하니라
1️⃣ 창세기 49:18
לִֽישׁוּעָתְךָ֖ קִוִּ֥יתִי יְהוָֽה׃
구절: "여호와여 나는 주의 구원을 기다리나이다."
문맥: 이 구절은 야곱이 그의 아들들을 축복할 때 나오는 말씀 중 하나입니다. 야곱은 하나님께서 주실 구원, 즉 예슈아를 기다린다고 말하며, 이는 그의 후손들에게 임할 하나님의 구원과 그 구원의 성취를 바라보는 믿음을 나타냅니다.
분석: 여기서 **H3444 (예슈아)**는 구체적으로 하나님께서 주실 구원을 의미하며, 이 구원은 야곱이 그의 자손들을 축복하며 고대하는 중요한 요소로 등장합니다. 이 구절은 미래의 구원을 기대하는 신앙적 선언으로 이해될 수 있습니다.
2️⃣ 출애굽기 14:13
וַיֹּ֨אמֶר מֹשֶׁ֣ה אֶל־הָעָם֮ אַל־תִּירָאוּ֒ הִֽתְיַצְב֗וּ וּרְאוּ֙ אֶת־יְשׁוּעַ֣ת יְהוָ֔ה אֲשֶׁר־יַעֲשֶׂ֥ה לָכֶ֖ם הַיֹּ֑ום כִּ֗י אֲשֶׁ֨ר רְאִיתֶ֤ם אֶת־מִצְרַ֙יִם֙ הַיֹּ֔ום לֹ֥א תֹסִ֛יפוּ לִרְאֹתָ֥ם עֹ֖וד עַד־עֹולָֽם׃
출애굽기 14:13
구절: “모세가 백성에게 이르되 너희는 두려워하지 말고 가만히 서서 여호와께서 오늘 너희를 위하여 행하시는 예슈아(구원)를 보라. 너희가 오늘 본 애굽 사람을 영원히 다시 보지 아니하리라.”
문맥:
이 구절은 이스라엘 백성이 홍해 앞에 서서 애굽 군대의 추격을 받으며 두려움에 떨고 있을 때, 모세가 그들에게 전한 말씀입니다. 이 순간은 백성들에게 극도의 두려움과 불확실함의 시간이었다. 하지만 모세는 하나님께서 그들을 적으로부터 구원해 주실 것이라는 희망과 신성한 보장을 전했습니다. 이 구절은 하나님께서 주신 구원의 약속이 모세의 순종을 통해 어떻게 실현되는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순간입니다. 모세가 하나님께서 명령하신 대로 지팡이를 들고 손을 바다 위로 내밀었을 때, 바다가 갈라지는 기적이 일어났습니다. 이는 하나님의 음성을 듣고 그에 정확히 순종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줍니다.
분석:
출애굽기 14:13에서 제시된 "Yeshuah" (구원)의 깊은 의미는 이스라엘 역사에서 중요한 순간을 담고 있습니다. 여기서 히브리어 단어 ישועה (Yeshuah)는 이스라엘을 구원하기 위해 하나님께서 직접 개입하신 사건을 나타내며, 이는 단순한 물리적 해방뿐만 아니라 하나님의 궁극적인 보호와 구원을 의미합니다. 이 구절은 하나님의 백성을 위한 구원자로서의 역할을 강조하며, 하나님의 명령에 순종하는 것이 Yeshuah(구원)의 핵심임을 보여줍니다. 여기서 우리는 예수를 올바르게 믿는 방법을 배우게 됩니다. 예수님께서 불법을 행하는 자들에게 “내게서 떠나가라”라고 하신 말씀은 바로 하나님의 명령을 따르지 않는 사람들을 가리키신 것입니다. 요한복음 14장에서 17장까지 예수님께서 스스로 말씀하지 않으시고, 하나님께서 명하신 그대로 말씀하셨다고 하신 것처럼, Yeshuah(구원)의 핵심은 하나님의 음성을 듣고 그에 순종하는 것입니다.
우리는 또한 아브라함의 믿음을 통해 예수님을 올바르게 믿는 방법을 배울 수 있습니다. 아브라함이 믿음의 조상이 된 이유는 창세기 26:5에서 “아브라함이 내 말을 순종하고 내 명령과 내 계명과 내 율례와 내 법도를 지켰음이라”고 하신 것과 같습니다.
결론:
애굽의 병거와 기마병들이 뒤에서 몰려오고, 앞에는 홍해의 깊은 물이 가로막고 있는 상황에서, 하나님의 정확한 명령을 따르는 것이 바로 예슈아(구원)의 본질이었습니다. 예수님을 참되게 믿는다는 것은 주님께서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완성하신 하나님의 명령에 순종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하나님께서 "나의 토라"라고 부르신 토라에 명시된 주님의 명령, 율례, 법도를 지키는 것을 포함합니다. 시편 123편에서 전달된 것처럼, 주님과 마음을 맞추어 교만한 자들의 조롱과 오만한 자들의 멸시를 견디며, 성숙한 믿음으로 예수 그리스도께 나아가야 합니다.
5️⃣8️⃣ 이사야 12:2
הִנֵּ֨ה אֵ֧ל יְשׁוּעָתִ֛י אֶבְטַ֖ח וְלֹ֣א אֶפְחָ֑ד כִּֽי־עָזִּ֤י וְזִמְרָת֙ יָ֣הּ יְהוָ֔ה וַֽיְהִי־לִ֖י לִֽישׁוּעָֽה׃
이사야 12:2
구절:
"보라, 하나님은 나의 예슈아이시라. 내가 신뢰하고 두려워하지 아니하리니 주 여호와는 나의 힘이시며 나의 노래시며, 그가 나의 예슈아가 되셨음이라." (이사야 12:2)
문맥:
이사야 12장은 이스라엘 백성의 구원, 즉 예슈아의 기쁨을 노래하는 찬양의 장입니다. 이스라엘은 하나님의 구원에 대해 감사와 찬양을 드리며, 그분의 구원이 모든 두려움을 몰아내고 영원한 힘과 기쁨을 준다는 메시지를 전합니다. 여기서 하나님은 '예슈아'로 불리며, 이는 그분이 어떻게 백성을 보호하고 구원하시는지를 보여줍니다. 이 구원은 단순한 구조를 넘어서, 예슈아로 성육신 하신 하나님의 구체적인 계획을 나타냅니다.
분석:
이사야 12:2에서 '구원'으로 번역된 히브리어 단어는 'Yeshuah' (ישועה, H3444)입니다. 이 단어는 단순한 물리적 구출을 넘어서, 전인적인 영적 구원을 의미합니다. 또한 태초에 하나님과 함께 계셨던 말씀이신 예슈아께서 성육신 하셔서 구원의 완성을 이루신 것을 의미합니다. 이사야는 하나님을 자신의 '예슈아'로 선언하며, 두려움 없이 그분을 신뢰할 수 있는 이유를 제시합니다. 하나님은 단순한 구원자가 아니라, 힘과 기쁨의 근원으로서 성육신 하신 예슈아를 통해 우리에게 영원한 구원을 베푸시는 분임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결론:
'Yeshuah'는 단순한 구원의 개념을 넘어, 하나님께서 사내아이 예슈아로 성육신 하셨음을 나타냅니다. 이사야 12:2는 하나님의 구원을 신뢰할 때 우리의 삶이 어떻게 변화되는지를 보여줍니다. 하나님은 우리에게 두려움을 몰아내고, 영원한 힘과 기쁨을 주시는 분입니다. 이러한 구원은 이사야의 시대뿐만 아니라 오늘날에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우리가 성육신 하신 예슈아를 믿을 때, 그분이 곧 우리의 구원이 되심을 경험하게 됩니다. 예슈아 안에 있는 구원은 곧 하나님의 구원이자 완전한 구속입니다.
03 Exo 15:2
구절: "여호와는 나의 힘이요 노래시며 나의 구원이시로다..."
문맥: 이 구절은 이스라엘 백성이 홍해를 건넌 후, 모세와 이스라엘 자손들이 부른 노래 중 일부입니다. 이 노래는 하나님께서 그들을 이집트에서 구원해 주신 것에 대한 감사와 찬양을 표현합니다.
분석: 여기서 **H3444 (예슈아)**는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백성을 구원하신 사건을 기념하며, 하나님이 구원자로서의 역할을 강조합니다. 구체적으로, 예슈아는 이스라엘 백성이 물리적 구원뿐만 아니라 영적인 구원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냅니다. 이 구절은 하나님이 구원의 근원임을 명확히 보여줍니다.
04 Deu 32:15
구절: "여수룬이 기름짐에 발로 찼도다... 그가 너를 지으신 하나님을 버리고 구원의 반석을 가볍게 여겼도다."
문맥: 이 구절은 모세의 노래에서, 이스라엘이 하나님의 풍성한 축복을 받고도 배은망덕한 태도를 보였음을 질책하는 내용입니다. "여수룬"은 이스라엘의 별칭으로, 하나님께서 이스라엘을 구원하신 은혜를 잊고 우상을 따르는 이스라엘의 타락을 경고합니다.
분석: 여기서 **H3444 (예슈아)**는 "구원의 반석"이라는 표현 속에 포함되어 있으며, 하나님이 이스라엘을 구원하신 그 은혜와 구원의 기초를 의미합니다. 이스라엘이 그 구원을 가볍게 여기는 행위를 비판하며, 구원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강조합니다.
3 in Sa05 1Sa 2:1
2 in Chronicles
2 in Job
13 in Psalms 1~41
12 in Psalms 42~72
5 in Psalms 73~89
5 in Psalms 90~106
10 in Psalms 107~150
8 in Isaiah 12~33
11 in Isaiah 49~62
1 in Jonah
1 in Habakku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