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애굽기 12:6과 역대하 35:1에서 사용된 ‘샤하트’(שָׁחַט)는 단순히 ‘죽이다(kill)’가 아니라, ‘희생(제물로 바치다, sacrifice)’이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 전통적으로 ‘kill(죽이다)’로 번역된 것은 잘못된 해석입니다.
📌 이 두 구절에서 사용된 ‘Shachat’는 반드시 ‘sacrifice(희생하다, 제물로 바치다)’로 번역되어야 합니다.
유월절 희생에는 두 가지 뚜렷한 단계가 존재합니다.
1️⃣ 첫 번째 단계: 준비일에 어린 양을 도살하고 준비하는 과정
2️⃣ 두 번째 단계: 유월절 본식에서 어린 양을 하나님께 드리는 과정
어린 양은 아빕 14일 저녁까지 잘 care (흠결을 살피서, 도살하고 거룩한 제물로 준비되는 과정포함) 되어야 합니다.
이후, **유월절 제사의 제물로 바쳐질 것을 준비하는 단계입니다. 즉 아빕 13일 오후에 도살하고 준비하는 과정이 포함됩니다.
종합헤보면:
유월절 제사를 위하여 도살, 가죽벗김, 각을 뜸, 피를 살에서 제거함, 세척등의 절차와 기타 여러가지 예식을 위한 제물과 사람들 모두가, 그리고 성전의 행사가 잘 준비되어 햡니다.
더우기 무수히 많은 사람들을 위한 준비인 것을 생각해보면 얼머나 긴 준비가 필요한지 알수있습니다.
유월절 본 행사는 유월절 제사입니다. 아빕 14일 저녁들 사이(בֵּין הָעַרְבָּיִם, Bein Ha'arbayim)에 이루어집니다. 해가 넘어가기 전의 노을과 해가 넘어간 직후의 노을, 그 사이에 거룩한 유월절 제물로 드려져야 합니다.
이미 준비된 어린 양이 여호와께 드려집니다.
정해진 절차에 따라 성대하게 치루어집니다. 찬양대, 악기연주
무수한 양을 불에 굽는 이 제사 후에야 이스라엘 백성이 어린 양을 먹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철저한 시간과 절차는 유월절 예식의 중요성을 강조할 뿐만 아니라,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처형이 유월절 준비일(아빕 13일)에 이루어졌다는 예표로서
성경적 서사를 정확하게 반영합니다.
✅ 출애굽기 12:6
어린 양을 아빕 14일 전까지 보관하고,
"저녁들 사이"(בֵּין הָעַרְבָּיִם)에서 희생하도록 명령하심.
이는 아빕 13일 오후에 도살하고 준비하여 유월절을 맞이함을 의미합니다.
✅ 역대하 35:1
유월절 희생 제사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14일 본 제사 예식을 위해 13일에 미리 어린 양을 희생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단지 13일에 준비했다고 말씀하실 필요가 없어서 그곳에 13일이라고 기록되지 않았을 뿐입니다.
이는 성경적 절차 및 시간표와 완전히 일치합니다.
👉 유월절의 철저한 시간적 순서를 깨닫는 것은, 예수님의 십자가 사건이 단순한 상징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정하신 완벽한 성취임을 확증하는 것입니다.
✅ 1절:
모든 유월절 희생 절차가 두 번째 단계까지 철저하게 수행되었음을 증언합니다.
특히, 유월절 희생이 아빕 14일 저녁에 하나님께 번제물로 드려졌음을 명확히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는 완전한 준비가 선행된 후에야 유월절 제사가 가능함을 강조합니다.
이를 위해:
모든 준비는 아빕 13일, 즉 준비일까지 완료되어야 했습니다.
그렇기에 유월절 희생은 14일 저녁에 번제물로 여호와께 드려질 수 있었습니다.
✅ 14절:
제사장들이 백성들을 위한 준비로 매우 바빴기 때문에,
후에 제사장들을 위한 추가적인 준비가 이루어졌음을 기록합니다.
14일 저녁 이후까지 번제물이 계속 드려졌음을 분명히 나타냅니다.
이는 철저한 유월절 준수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강조하는 요소입니다.
✅ 2절~15절:
유월절을 지키기 위해 필요한 모든 준비 과정이 상세히 기록되어 있습니다.
이는 유월절이 단순한 의식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정하신 질서에 따라 철저하게 준비해야 하는 절기임을 보여줍니다.
✅ 16절:
모든 번제물이 여호와 하나님께 드려지면서 유월절 희생 절차가 완전히 마무리되었음을 명확히 증언합니다.
즉, 유월절 희생의 모든 단계가 철저히 수행되었으며, 성경 기록은 이를 완벽하게 입증합니다.
1️⃣ 유월절 희생이 아빕 14일 저녁에 완전히 성취되려면, 반드시 13일까지 모든 준비가 완료되어야 한다.
2️⃣ 역대하 35장은 이러한 절차가 철저히 지켜졌음을 증언하며, 유월절이 대충 행해진 절기가 아니라 매우 정밀한 질서 속에서 이루어졌음을 강조한다.
3️⃣ 예수님의 십자가 희생 또한 유월절 준비일(아빕 13일)에 이루어졌으며, 이는 성경 전체와 완벽하게 일치한다.
👉 즉, 역대하 35장은 유월절 희생 절차가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사건과 정확히 연결됨을 보여주는 강력한 성경적 증거입니다.
📖 일반 번역:
"너는 희생(샤하트)한 피를 누룩 있는 것과 함께 내게 드리지 말며, 유월절 희생제물의 고기를 아침까지 남겨두지 말라."
💡 이 구절에서 '샤하트'는 단순한 '죽이다(kill)'가 아니라, ‘제물로 바치다(offer, sacrifice)’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 대부분의 성경 번역본과 유대 랍비들도 이를 ‘희생(제사를 드리다)’로 해석합니다.
즉, 이 구절에서 ‘샤하트’(שָׁחַט)는 '죽이는 행위'가 아니라, '희생 제물을 드리는 과정'을 의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