Εὐαγγέλια (에우앙겔리아, Gospels)
Πράξεις (프락세이스, Acts)
Ἐπιστολαὶ Παύλου (에피스톨라이 파울루, Pauline Epistles)
Καθολικαὶ Ἐπιστολαί (카톨리카이 에피스톨라이, General Epistles)
Ἀποκάλυψις Ἰωάννου (아포칼립시스 이오안누, Revelation of John)
사도들과 제자들이 복음서, 서신, 요한계시록 등을 기록.
개별 교회들에 편지와 복음서가 전달되고 서로 교환·복사됨.
초기 파피루스 사본들 등장 (예: P^52, P^46, P^66).
교회들 사이에서 “사도적 권위” 있는 문서들이 구별되기 시작.
무라토리 경정(약 170년경) → 최초의 신약 목록 일부 제시.
정경 확립: 아타나시우스(367년) 부활절 편지에서 27권 확정 언급.
코덱스 대형 사본들 제작:
바티카누스 (Vaticanus, 4세기)
시나이티쿠스 (Sinaiticus, 4세기)
알렉산드리누스 (Alexandrinus, 5세기) 등 대형 사본 계속 제작.
신약 정경 27권이 교회 전반에 사실상 확립.
수천 개의 비잔틴 본문 사본 필사 → 동방 교회의 주류.
서방 교회는 라틴 불가타(Vulgata, 히에로니무스 번역)를 표준으로 사용.
인쇄술 발명 → 헬라어 신약 최초 인쇄본 출판.
에라스무스(1516) → Textus Receptus(TR) 시작.
이후 스테파누스, 베자, 엘제비어가 개정판을 출간.
루터 성경, 킹제임스 성경(KJV, 1611) 등 종교개혁 번역 성경의 기반이 됨.
고대 사본 대발견 (시나이티쿠스, 바티카누스 재조명).
웨스트콧 & 호르트(1881) → 비평본문(Critical Text) 제시.
네슬레(Nestle, 1898), 알란트(Aland) → Nestle–Aland(NA) 본문 확립.
독일 뮌스터의 INTF(신약본문연구소) 주도.
UBS 성경공회와 협력 → 현대 번역 성경의 표준 본문으로 자리잡음.
약 5,800개 헬라어 사본 + 수만 개 번역/교부 인용문 존재.
TR 전통: KJV 및 일부 보수 교단.
NA/UBS 전통: 현대 국제 학계, 성서공회, 대부분의 교회 번역 성경.
👉 이렇게 보시면, 신약은 “사도적 문서들의 모음 → 교회적 정경 확립 → 고대 대형 사본 → 중세 필사 전통 → 인쇄본(TR) → 비평본문(NA)”의 긴 여정을 거쳐 오늘날 우리가 아는 성경으로 집대성된 것입니다.
예루살렘 교회: 사도들의 활동 중심지. 야고보, 베드로, 요한 등이 지도.
안디옥 교회: 이방 선교의 거점. 바울과 바나바가 파송됨.
소아시아 교회들 (에베소, 고린도, 빌립보, 데살로니가 등): 바울 서신의 수신자.
이 시기 교회들은 사도들의 편지와 복음서를 공유하며 서로 필사.
소아시아 교회: 요한 전승과 밀접. 폴리캅(스미르나), 이그나티우스(안디옥) 같은 교부 등장.
로마 교회: 서방 교회의 중심. 무라토리 경정이 로마 교회에서 발견됨.
알렉산드리아 교회: 이집트 지역. 오리겐, 클레멘스 같은 교부가 성경 연구에 기여.
이 시기 교회들은 “사도적 권위”를 기준으로 정경 목록을 구별하기 시작.
카파도키아·소아시아 교회들: 정경 논의에 참여.
알렉산드리아 교회: 오리겐, 아타나시우스 등 학자적 전통.
로마 및 북아프리카 교회: 히폴리투스, 테르툴리아누스, 키프리아누스 같은 교부.
동방 교회(콘스탄티노플 중심): 로마제국 공인 이후 신약 정경 확립에 주도적 역할.
이 시기 27권 정경이 사실상 확정.
동방 정교회(비잔틴 교회): 그리스어 사용, 비잔틴 본문 사본 대량 필사.
서방 교회(로마 가톨릭): 라틴어 불가타(Vulgata)를 표준 성경으로 확립.
중세 전반에 걸쳐 신약은 주로 교회의 예배와 전례 속에서 낭독·보존됨.
개신교 교회들: 헬라어 신약(TR)에 기초하여 자국어 번역 성경 제작 (루터 성경, KJV 등).
가톨릭 교회: 여전히 라틴 불가타를 공식 성경으로 사용, 트리엔트 공의회(1546)에서 불가타를 권위 본문으로 확정.
국제 학계와 교회 연합: 네슬레–알란드, UBS 비평본문을 중심으로 학문적 표준 확립.
가톨릭과 개신교 모두 현대 번역 성경에서 NA/UBS 본문을 채택.
👉 정리하면,
초기(1–4세기): 예루살렘, 안디옥, 로마, 알렉산드리아, 소아시아 교회들이 신약 사본 전승의 중심.
중세(5–15세기): 동방 정교회는 헬라어 사본(비잔틴 전통), 서방 가톨릭은 라틴 불가타.
근세 이후: 개신교는 TR 기반 성경, 가톨릭은 불가타, 현대는 NA/UBS 비평본문을 수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