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뉴마 πνεῦμα
요한복음 3:8
한국어 번역: “바람이 원하는 곳으로 불고, 그 소리를 들으면서도 어디서 오고 어디로 가는지 모르는 것처
레브 (לֵב) — Strong's H3820
→ 영적 인격체(루아흐)가 활동하는 중심, 영의 의지·판단·생각의 자리
프뉴마 (πνεῦμα) — Strong's G4151
→ 영, 성령, 하나님의 숨결로 주어진 영적 인격체
사도행전 2:4
한국어 번역: “모든 사람이 성령으로 충만하게 되었다.”
프뉴마가 쓰인 부분: "πνεύματος Ἁγίου" (프뉴마토스 하기우)
πνεύματος (프뉴마토스)
문법: 명사의 속격 형태로, "영" 또는 "성령"을 의미합니다.
Ἁγίου (하기우)
문법: 형용사로, "거룩한"을 의미합니다.
로마서 8:16
한국어 번역: “그분의 영이 우리 영과 함께 증언하십니다.”
프뉴마가 쓰인 부분: "τὸ πνεῦμα αὐτοῦ" (토 프뉴마 아우투)
τὸ (토)
문법: 정관사로, 특정 명사를 지칭합니다.
πνεῦμα (프뉴마)
문법: 명사로, "영" 또는 "성령"을 의미합니다.
αὐτοῦ (아우투)
문법: 소유대명사로, "그의" 또는 "그분의"를 의미합니다.
고린도전서 12:7
한국어 번역: “각 사람에게 성령의 나타남이 유익을 주기 위함이다.”
프뉴마가 쓰인 부분: "φανέρωσις τοῦ πνεύματος" (파네로시스 투 프뉴마토스)
φανέρωσις (파네로시스)
문법: 명사로, "나타남"을 의미합니다.
τοῦ (투)
문법: 정관사의 속격 형태로, 특정 명사를 지칭합니다.
πνεύματος (프뉴마토스)
문법: 명사의 속격 형태로, "영" 또는 "성령"을 의미합니다.
요한복음 14:17
한국어 번역: “진리의 영”
프뉴마가 쓰인 부분: "τὸ πνεῦμα τῆς ἀληθείας" (토 프뉴마 테스 알레세이아스)
τὸ (토)
문법: 정관사로, 특정 명사를 지칭합니다.
πνεῦμα (프뉴마)
문법: 명사로, "영" 또는 "성령"을 의미합니다.
τῆς (테스)
문법: 정관사의 소유격 형태로, 특정 명사를 지칭합니다.
ἀληθείας (알레세이아스)
문법: 명사의 소유격 형태로, "진리"를 의미합니다.
📑퓨쉬케 (ψυχή, psyche)
마태복음 10:28
한국어 번역: “몸은 죽여도 혼은 능히 죽이지 못하는 자들을 두려워하지 말고, 오직 몸과 혼을 능히 지옥에 멸하실 수 있는 이를 두려워하라.”
퓨쉬케가 쓰인 부분: "τὴν ψυχήν" (텐 퓨쉬켄)
τὴν (텐)
문법: 정관사로, 여성 명사를 지칭합니다.
ψυχήν (퓨쉬켄)
문법: 명사의 여성 단수 대격 형태로, "혼"을 의미합니다.
마가복음 8:36
한국어 번역: “사람이 온 천하를 얻고도 자기 혼을 잃으면 무엇이 유익하리요?”
퓨쉬케가 쓰인 부분: "τὴν ψυχὴν αὐτοῦ" (텐 퓨쉬켄 아우투)
τὴν (텐)
문법: 정관사로, 여성 명사를 지칭합니다.
ψυχὴν (퓨쉬켄)
문법: 명사 여성 단수 대격 형태, "혼"
αὐτοῦ (아우투)
문법: 소유대명사로, "그의"를 의미합니다.
요한복음 12:25
한국어 번역: “자기의 혼을 사랑하는 자는 잃어버릴 것이요, 이 세상에서 자기 혼을 미워하는 자는 영생하도록 보전하리라.”
퓨쉬케가 쓰인 부분: "τὴν ψυχὴν αὐτοῦ" (텐 퓨쉬켄 아우투)
τὴν (텐)
문법: 정관사로, 여성 명사를 지칭합니다.
ψυχὴν (퓨쉬켄)
문법: 명사 여성 단수 대격 형태, "혼"
αὐτοῦ (아우투)
문법: 소유대명사로, "그의"를 의미합니다.
사도행전 2:27
한국어 번역: “이는 내 혼을 음부에 버리지 아니하시며 주의 거룩한 자로 썩음을 당하지 않게 하실 것임이라.”
퓨쉬케가 쓰인 부분: "τὴν ψυχήν μου" (텐 퓨쉬켄 무)
τὴν (텐)
문법: 정관사로, 여성 명사를 지칭합니다.
ψυχήν (퓨쉬켄)
문법: 명사의 여성 단수 대격 형태로, "혼"
μου (무)
문법: 소유대명사로, "나의"를 의미합니다.
히브리서 4:12
한국어 번역: “하나님의 말씀은 살아 있고 활력이 있어 좌우에 날 선 어떤 검보다도 예리하여 혼과 영과 및 관절과 골수를 찔러 쪼개기까지 하며 또 마음의 생각과 뜻을 감찰하나니.”
퓨쉬케가 쓰인 부분: "ψυχῆς τε καὶ πνεύματος" (퓨쉬케스 테 카이 프뉴마토스)
ψυχῆς (퓨쉬케스)
문법: 명사의 여성 단수 속격 형태로, "혼"을 의미합니다.
τε (테)
문법: 접속사로, “그리고”를 의미합니다.
πνεύματος (프뉴마토스)
문법: 명사의 중성 단수 속격 형태로, "영"을 의미합니다.
바사르 (בָּשָׂר) — Strong's H1320
→ 살, 육체, 물질적 본능
(기능 개념 없음)
사르크스 (σάρξ) — Strong's G4561
→ 육, 타락 성향을 포함한 육적 본능
(기능 개념 없음)
구프 (גוּף) — Strong's H1472 (참고: 구프는 타나크에 직접 언급되지 않고 탈무드 및 유대 문헌에서 주로 사용됨. ‘몸’ 의미의 히브리어 대체는 ‘게윱(גְּוִיָּה, H1472)’ 또는 ‘바디’ 의미로 사용된 단어들이 있음)
→ 몸 전체, 외적 물질적 존재
(기능 개념 없음)
소마 (σῶμα) — Strong's G4983
→ 몸 전체, 물질적 실체
(기능 개념 없음)
뜻: 시신, 육체, 몸
창세기 47:18에 등장 (요셉이 아버지 야곱의 시신을 이집트에서 가나안으로 옮길 때 사용)
다만 '죽은 몸(시체)'을 가리키는 용례가 많습니다.
기본적으로 '살, 육체'를 의미하지만, 종종 사람의 몸 전체를 지칭하는 개념으로 사용됩니다.
창세기 6:12 “모든 육체(바사르)가 부패했으므로…” → 모든 인간의 몸과 존재를 가리킴
‘뼈, 골격’을 뜻하지만, 문맥에 따라 몸의 구조, 몸 전체를 의미하기도 합니다.
창세기 2:23 “이는 내 뼈(에체ם) 중의 뼈요, 살 중의 살이라” — 육체적 전체를 상징
본래 '내부 방, 깊은 곳'이라는 의미지만, 시편 등에서는 몸 안의 내장 기관이나 몸 안의 깊은 부분을 은유적으로 표현하는 데 사용됩니다.
구약 성경에서 '몸'을 직접적으로 지칭하는 가장 가까운 단어는 바사르(בָּשָׂר, 살) 가 전체 존재의 몸을 가리킬 때 쓰입니다.
또한 게위야(גְּוִיָּה) 는 몸(주로 시신 형태로서)이라는 의미로 등장합니다.
‘구프(גוּף)’ 는 성경 본문에는 나오지 않지만, 고대 히브리어 문헌(탈무드 등)과 현대 히브리어에서는 ‘몸’ 을 지칭하는 일반 단어로 사용됩니다.
하이(חַי) — Strong's H2416
→ 생명, 살아 있음, 살아 움직이는 존재
→ 히브리어에서 '하이'는 단순히 생명 상태를 넘어, 하나님께 연결된 생명의 실체를 의미합니다.
하임(חַיִּים) — Strong's H2416(복수형 또는 강조형으로 사용)
→ 생명, 풍성한 삶, 반복적이고 계속되는 영원한 생명 개념
조에(ζωή) — Strong's G2222
→ 헬라어 '조에'는 단순한 생명이 아니라, 영원한 생명, 하나님께로부터 온 참 생명, 예슈아 메시아 안에 있는 생명을 의미합니다.
→ '조에'는 영원성과 신적 차원의 생명을 담고 있는 단어이며, 요한복음에서 아주 중요한 키워드입니다.
📑조에 ζωή
계시록 22:1
한국어 번역: “또한 그는 생명수의 강을 내게 보이니, 하나님과 어린 양의 보좌에서 나와서”
조에가 쓰인 부분: "τοῦ ὕδατος τῆς ζωῆς" (투 후다토스 테스 조에스)
τοῦ (투)
문법: 정관사의 소유격 형태로, 특정 명사를 지칭합니다.
ὕδατος (후다토스)
문법: 명사의 소유격 형태로, "물"을 의미합니다.
τῆς (테스)
문법: 정관사의 소유격 형태로, "생명의"를 의미합니다.
ζωῆς (조에스)
문법: 명사의 소유격 형태로, "생명"을 의미합니다.
요한복음 4:14
한국어 번역: “그러나 내가 주는 물을 마시는 자는 영원히 목마르지 아니하리니 내가 주는 물은 그 속에서 영생하도록 솟아나는 샘물이 되리라.”
조에가 쓰인 부분: "εἰς ζωῆς αἰωνίου" (에이스 조에스 아이오니우)
εἰς (에이스)
문법: 전치사로, 방향이나 목적을 나타냅니다. 여기서는 "영생을 위한"이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ζωῆς (조에스)
문법: 명사의 소유격 형태로, "ζωή" (조에)의 소유격입니다. "생명" 또는 "영원한 생명"을 의미합니다.
αἰωνίου (아이오니우)
문법: 형용사의 소유격 형태로, "αἰώνιος" (아이오니오스)의 소유격입니다. "영원한" 또는 "영원히 지속되는"을 의미합니다.
요한복음 14:6
한국어 번역: “예수께서 이르시되, 나는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니, 나를 통하지 않고는 아버지께로 올 자가 없느니라.”
조에가 쓰인 부분: "ἡ ζωὴ" (헤 조에)
ἡ (헤)
문법: 정관사로, 특정 명사를 지칭합니다.
ζωὴ (조에)
문법: 명사로, "생명"을 의미합니다.
요한일서 1:2
한국어 번역: “이 생명이 나타내신 바 된지라 이 영원한 생명을 우리가 보았고 증언하여 너희에게 전하노니 이는 아버지와 함께 계시다가 우리에게 나타내신 바 된 자니라.”
조에가 쓰인 부분: "ἡ ζωὴ ἡ αἰώνιος" (헤 조에 헤 아이오니오스)
ἡ (헤)
문법: 정관사로, 특정 명사를 지칭합니다.
ζωὴ (조에)
문법: 명사로, "생명"을 의미합니다.
ἡ (헤)
문법: 정관사로, 특정 명사를 지칭합니다.
αἰώνιος (아이오니오스)
문법: 형용사로, "영원한"을 의미합니다.
로마서 6:23
한국어 번역: “죄의 삯은 사망이요 하나님의 은사는 그리스도 예수 우리 주 안에 있는 영생이니라.”
조에가 쓰인 부분: "ζωὴ αἰώνιος" (조에 아이오니오스)
ζωὴ (조에)
문법: 명사로, "생명"을 의미합니다.
αἰώνιος (아이오니오스)
문법: 형용사로, "영원한"을 의미합니다.
디모데전서 6:12
한국어 번역: “믿음의 선한 싸움을 싸우라 영생을 취하라 이를 위하여 네가 부르심을 받았고 많은 증인 앞에서 선한 증언을 하였도다.”
조에가 쓰인 부분: "τὴν αἰώνιον ζωὴν" (텐 아이오니온 조엔)
τὴν (텐)
문법: 정관사의 대격 형태로, 특정 명사를 지칭합니다.
αἰώνιον (아이오니온)
문법: 형용사의 대격 형태로, "영원한"을 의미합니다.
ζωὴν (조엔)
문법: 명사의 대격 형태로, "생명"을 의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