Εὐαγγέλια (에우앙겔리아, Gospels)
Πράξεις (프락세이스, Acts)
Ἐπιστολαὶ Παύλου (에피스톨라이 파울루, Pauline Epistles)
Καθολικαὶ Ἐπιστολαί (카톨리카이 에피스톨라이, General Epistles)
Ἀποκάλυψις Ἰωάννου (아포칼립시스 이오안누, Revelation of John)
🕊️ 1세기
사도들과 제자들이 복음서, 서신, 요한계시록 등을 기록.
개별 교회들에 편지와 복음서가 전달되고 서로 교환·복사됨.
📜 2세기
초기 파피루스 사본들 등장 (예: P^52, P^46, P^66).
교회들 사이에서 “사도적 권위” 있는 문서들이 구별되기 시작.
무라토리 경정(약 170년경) → 최초의 신약 목록 일부 제시.
📖 4세기
정경 확립: 아타나시우스(367년) 부활절 편지에서 27권 확정 언급.
코덱스 대형 사본들 제작:
바티카누스 (Vaticanus, 4세기)
시나이티쿠스 (Sinaiticus, 4세기)
⛪ 5–6세기
알렉산드리누스 (Alexandrinus, 5세기) 등 대형 사본 계속 제작.
신약 정경 27권이 교회 전반에 사실상 확립.
🕯️ 중세 (7–15세기)
수천 개의 비잔틴 본문 사본 필사 → 동방 교회의 주류.
서방 교회는 라틴 불가타(Vulgata, 히에로니무스 번역)를 표준으로 사용.
🖨️ 16세기
인쇄술 발명 → 헬라어 신약 최초 인쇄본 출판.
에라스무스(1516) → Textus Receptus(TR) 시작.
이후 스테파누스, 베자, 엘제비어가 개정판을 출간.
루터 성경, 킹제임스 성경(KJV, 1611) 등 종교개혁 번역 성경의 기반이 됨.
📚 19세기
고대 사본 대발견 (시나이티쿠스, 바티카누스 재조명).
웨스트콧 & 호르트(1881) → 비평본문(Critical Text) 제시.
📑 20세기
네슬레(Nestle, 1898), 알란트(Aland) → Nestle–Aland(NA) 본문 확립.
독일 뮌스터의 INTF(신약본문연구소) 주도.
UBS 성경공회와 협력 → 현대 번역 성경의 표준 본문으로 자리잡음.
🌍 오늘날
약 5,800개 헬라어 사본 + 수만 개 번역/교부 인용문 존재.
TR 전통: KJV 및 일부 보수 교단.
NA/UBS 전통: 현대 국제 학계, 성서공회, 대부분의 교회 번역 성경.
👉 이렇게 보시면, 신약은 “사도적 문서들의 모음 → 교회적 정경 확립 → 고대 대형 사본 → 중세 필사 전통 → 인쇄본(TR) → 비평본문(NA)”의 긴 여정을 거쳐 오늘날 우리가 아는 성경으로 집대성된 것입니다.
1세기 (사도 시대)
예루살렘 교회: 사도들의 활동 중심지. 야고보, 베드로, 요한 등이 지도.
안디옥 교회: 이방 선교의 거점. 바울과 바나바가 파송됨.
소아시아 교회들 (에베소, 고린도, 빌립보, 데살로니가 등): 바울 서신의 수신자.
이 시기 교회들은 사도들의 편지와 복음서를 공유하며 서로 필사.
2세기 (사도 후대 교회)
소아시아 교회: 요한 전승과 밀접. 폴리캅(스미르나), 이그나티우스(안디옥) 같은 교부 등장.
로마 교회: 서방 교회의 중심. 무라토리 경정이 로마 교회에서 발견됨.
알렉산드리아 교회: 이집트 지역. 오리겐, 클레멘스 같은 교부가 성경 연구에 기여.
이 시기 교회들은 “사도적 권위”를 기준으로 정경 목록을 구별하기 시작.
3–4세기 (정경 확립기)
카파도키아·소아시아 교회들: 정경 논의에 참여.
알렉산드리아 교회: 오리겐, 아타나시우스 등 학자적 전통.
로마 및 북아프리카 교회: 히폴리투스, 테르툴리아누스, 키프리아누스 같은 교부.
동방 교회(콘스탄티노플 중심): 로마제국 공인 이후 신약 정경 확립에 주도적 역할.
이 시기 27권 정경이 사실상 확정.
5–15세기 (중세 교회)
동방 정교회(비잔틴 교회): 그리스어 사용, 비잔틴 본문 사본 대량 필사.
서방 교회(로마 가톨릭): 라틴어 불가타(Vulgata)를 표준 성경으로 확립.
중세 전반에 걸쳐 신약은 주로 교회의 예배와 전례 속에서 낭독·보존됨.
16세기 이후 (종교개혁과 인쇄 성경)
개신교 교회들: 헬라어 신약(TR)에 기초하여 자국어 번역 성경 제작 (루터 성경, KJV 등).
가톨릭 교회: 여전히 라틴 불가타를 공식 성경으로 사용, 트리엔트 공의회(1546)에서 불가타를 권위 본문으로 확정.
19–20세기 (비평본문 확립기)
국제 학계와 교회 연합: 네슬레–알란드, UBS 비평본문을 중심으로 학문적 표준 확립.
가톨릭과 개신교 모두 현대 번역 성경에서 NA/UBS 본문을 채택.
👉 정리하면,
초기(1–4세기): 예루살렘, 안디옥, 로마, 알렉산드리아, 소아시아 교회들이 신약 사본 전승의 중심.
중세(5–15세기): 동방 정교회는 헬라어 사본(비잔틴 전통), 서방 가톨릭은 라틴 불가타.
근세 이후: 개신교는 TR 기반 성경, 가톨릭은 불가타, 현대는 NA/UBS 비평본문을 수용.
1) 📖 마가복음 1:1
헬라어 (NA28/UBS5):
Ἀρχὴ τοῦ εὐαγγελίου Ἰησοῦ Χριστοῦ [υἱοῦ θεοῦ].
한국어:
“예수 그리스도 [하나님의 아들]의 복음의 시작.”
변이: υἱοῦ θεοῦ (“하나님의 아들”) 일부 사본 없음
UBS 등급: B
2) 📖 요한복음 1:18
헬라어 (NA28/UBS5):
θεὸν οὐδεὶς ἑώρακεν πώποτε· ὁ μονογενὴς θεὸς ὁ ὢν εἰς τὸν κόλπον τοῦ πατρὸς ἐκεῖνος ἐξηγήσατο.
한국어:
“아무도 한 번도 하나님을 본 적이 없다. 아버지의 품 속에 계신 독생 하나님(혹은 ‘독생 아들’) 그분이 친히 밝히셨다.”
변이:
θεός = “하나님”
υἱός = “아들”
UBS 등급: B
3) 📖 요한복음 7:53–8:11 (간음한 여인 이야기)
헬라어 (NA28/UBS5):
[Καὶ ἐπορεύθησαν ἕκαστος εἰς τὸν οἶκον αὐτοῦ· Ἰησοῦς δὲ ἐπορεύθη εἰς τὸ Ὄρος τῶν Ἐλαιῶν …]
한국어:
“[그들은 각자 자기 집으로 갔다. 그러나 예수는 올리브 산으로 가셨다… 예수께서 말씀하셨다. ‘나도 너를 정죄하지 않는다. 가라. 다시는 죄를 짓지 말라.’]”
초기 사본에 없음 (𝔓66, 𝔓75, א, A, B, C 등)
후대 사본에 있음 (D, Θ, Ψ 등)
UBS 등급: D
4) 📖 마가복음 16:9–20 (긴 결말)
헬라어 (NA28/UBS5):
[Ἀναστὰς δὲ πρωῒ πρώτῃ σαββάτου ἐφάνη πρῶτον Μαρίᾳ τῇ Μαγδαληνῇ …]
한국어:
“[(직역 – NA28/UBS5) 그러나 사바톤의 아주 이른 아침에, 그분이 일어나시어 먼저, 그분께서 일곱 귀신들을 내쫓아주신 막달라 마리아에게 나타나셨다. … 제자들이 나가 두루 전파할 때 주께서 함께 역사하시며 따르는 표적으로 말씀을 확증하셨다.]”
초기 사본에 없음 (א, B 등)
대다수 사본에 있음 (A, C, D, K, W, Θ 등)
UBS 등급: D